태음인은 폐와 심장기능이 약하고 간기능은 비교적 좋은 편이기 때문에 담배는 피지 않는 것이 좋고 술은 타고난 체질에 의해서 과음을 할 수가 있는데 과음은 어떤 체질이라도 피해야 한다. |
태음인은 성격상 폭식을 하는 경우가 잦지만 대장이 약해서 오히려 독이 된다.
태음인은 감기에 결렸을 때 아스피린이 효과가 더 좋다.
장이 약하기 때문에 유산균이 풍부한 음식을
섭취하는 것이 좋고 당근과 사과를 함께 먹는 것이 좋다.
태음인 음식 : 갈비탕, 육회
체질차 : 현미차, 도라지차, 더덕차
육류 : 쇠고기, 장어, 우유, 버터, 치즈
해산물 : 대구, 미역, 김, 다시마, 파래
야채 : 무, 도라지, 연근, 마, 토란, 버섯, 더덕, 당근
곡류 : 밀, 율무, 콩, 두부, 들깨
과실 : 배, 잣, 호도, 은행
태음인에게 좋은 "연근 견과류 조림" 만들기
재료 : 연근 1개, 아몬드, 땅콩, 식초 약간, 올리브유 약간, 참기름
양념 : 다시마육수 2컵, 간장 4큰술, 매실액 2큰술, 조청 3큰술, 청주 1큰술
➀ 연근 껍질을 벗기고 적당한 크기로 썬 후 식초를 넣고 10분간 삶아 준다.
② 양념은 잘 섞는다.
➂ 냄비에 연근, 다시마 육수, 양념을 넣고 졸여 준다.
➃ 국물이 없어지면서 거품이 나면 아몬드, 땅콩을 넣고 약한물에 볶아준다.
⑤ 마지막에 참기름을 넣어준다.
tip : 연근을 살짝 삶아 우유 200ml, 연근한쪽, 견과류 함줌,
꿀 한 스푼을 넣고 갈아서 간식이나 아침 대용.
※ 효능.효과 ※
비타민C, 철분, 탄닌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. 연근의 주성분은 녹말이다.
날로 먹거나 즙으로 갈아 먹으며, 조림, 전, 굽거나 삶아서 샐러드에 곁들여
다양한 조리로 모양과 맛을 즐길 수 있다. 실처럼 끈끈한 뮤신(mucin)성분은
당질과 결합된 복합 단백질로 소화를 촉진시켜 주고 강장작용을 하며
위벽을 보호해 준다.
김동석원장 "체질별 면역밥상" 중
열기 닫기